포트폴리오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현차 신입 이력서 학부인턴 기간
교내 학부인턴을 약 2년간 했다고 기재하려 했는데요, 2023 3월~6월에 하다가, 연구실 공사로 연구가 어려워 교수님께서 이왕 이렇게 된거 한학기 쉬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2024 1월부터 재개, 7월까지 하다가 건강 상 이유로 8월만 쉬었습니다. 이후 9월~12월은 전공학점을 받으려고 같은 랩에서 캡디같은 특수연구로 진행했습니다. 제가 같이 팔로우업한 석사선배랑 시작과 끝을 같이해서, 연구실도 다 그렇게 인정하는 분위기인데 이걸 2년했다고 작성하면 문제가 있을까요? 특수연구로 했다, 공사했다를 쓸 수도 없고 현차 이력에 시작/종료지점이 하나뿐이라서요... 그리고 프로젝트-학부인턴 1, 학부인턴 2, 공모전 수상내용 학내외활동-학생회 국장. 튜터, 언어교환 동아리 이렇게 작성해도 되나요? 아니면 인턴은 학내외활동에 써야하나요?
2025.03.11
답변 6
- 프로답변러YTN코부사장 ∙ 채택률 91%
채택된 답변
학부 인턴 기간을 2년으로 기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를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턴 기간이 중단되었던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고, 이를 통해 본인의 적응력과 지속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3월부터 6월까지 인턴을 시작했으나, 연구실 공사로 인해 한 학기 휴식 후 2024년 1월부터 재개하여 12월까지 진행했습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인턴 경험은 프로젝트나 경험 섹션에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통해 본인의 기술적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학내외활동 섹션은 주로 동아리 활동이나 학생회와 같은 경험을 기재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턴 경험은 프로젝트나 경험 섹션에 작성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함께 읽은 질문
Q. [직무를 고민 중인 취준생이라면 ?] 취업 멘토링 전문가와 진행하는 1:1 무료 취업 상담
혼자 준비하는 취준, 뭘 준비해야 할지도 막막하다면... 하반기에는 꼭 취업하고 싶은 당신을 위해, 직무부터 전략까지, 무료 1:1 커리어 상담을 준비했어요 🧑🏫 🔥 IT 분야 취업 전문 상담가와 함께 나에게 꼭 맞는 직무와 방향성을 명확히 잡아보세요. ✔︎ 1,500명 이상이 경험한 무료 1:1 취업 상담 개발 / 데이터 / 마케팅 / 디자인 내게 맞는 직무부터 취업 전략까지 커리어 전문 매니저가 직접 서포트합니다 ! ✔︎ 합격 이력서 & 면접 질문집 무료 제공 ✔︎ 신규 회원 한정, 티셔츠 & 키링 굿즈 증정까지 취업을 위한 완벽 준비 ! 🧊 https://bit.ly/44HE1FI
Q. 티오 작지만 우대사항에 상대적으로 많이 맞는 직무 vs 티오가 많지만 우대사항과 부합하지 않는 직무
전자의 직무는 우대사항으로 자격증을 우대하고 있는데 제가 기사 자격증이 없습니다. 후자의 직무는 우대사항이 세부적인면이 있지만 프로젝트나 학부연구생 등을 통해서 관련 역량을 쌓은 상황입니다. 둘다 설계라는 큰 카테고리에있긴한데 취업을 빨리 하는게 목적이라면 어떤 방향성이 좋을까요? 티오는 OO명과 O명입니다
Q. 토익스피킹 AM이면 취업시장에서 어학우수자로 간주되나요?
토익스피킹 AM이면 문과, 공대 직무 모두 어학우수자로 간주되나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